권위주의에 대하여

 XXX 대통령은 전국 주요 하천 곳곳에 댐이나 대형 보를 설치하여 강물을 대량 보관하면 홍수 조절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단하였다. 따라서 그는 5대강 사업을 강행했다. 하지만 독일의 한 하천 전문가 한스 헬무트 베른하르트 교수는 강물을 댐이나 보에 가두어 놓을 경우, 홍수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질이 오염되어 하천의 생태계를 파괴한다고 주장했다. 5대강 사업은 기대했던 효과를 얻지 못할 것이라 예측되었고 실제로 판정패하기도 했다.


아인슈타인은 신이 있다고 생각했다. 리차드 도킨스는 신이 없다고 생각했다. 리차드 도킨스보다는 아인슈타인이 더 위대한 과학자이다. 그러므로 신이 있다는 주장이 더 그럴듯 하다.


일론 머스크는 세상 제일의 부자이다. 일론 머스크는 도지코인을 미래 지향적 화폐로 보고 있다. 그의 영향력은 실로 어마무시하여 트위터 한 번에도 수백억의 돈이 요동친다.


첫번째 예시에서는 실제 권력을 가진 사람과 과학적 권위를 가진 사람의 불일치를 보인다. 권위주의에 *기댔어야*하는 좋은 예시 중 하나이다. 두번째 예시에서는 권위주의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예시이다. 과학의 발전, 시대 상황 등의 변수가 그 뒷받침 근거이다. 애초에 내가 불가지론을 지지하는 편이라 예시가 좋은지도 모르겠고. 마지막 예시에서는 권위주의에 얼마나 기대야 할까?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