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와 나




세상에는 혁명적인 발명품이 있다. 20대인 나에게, 가장 와닿는 혁명은 스마트폰이다. 몇 년 간 막 다뤄도 주인만을 바라봐주고, 언제 어디서나 한 손에 알맞게 들어오는 이 물건을 보고 있으면 도대체 스마트폰 없이 예전에는 어떻게 살았을까 싶다.


2016년 12월, 에어팟이라는 이어폰이 세상에 공개되었다. 당시 나는 줄 이어폰을 쓰고 있었고, LG 석유화학에서 주최하는 대회에 나갔다가 부상으로 받아온 무선 이어폰을 책상에 넣어둔 채 안 쓰고 있었다. 무선 이어폰이 싫었던 건 아니었던 것 같다. 분명 무선이어폰을 착용하는 동안에는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편리하기는 했는데, 매일매일 따로 충전해야 된다는 점이 불편했던 기억은 있다. 무엇보다 같이 대회에 나갔다가 같이 무선 이어폰을 받아온 태영이가 이어폰을 끼고 찍은 셀카 때문에 시각적인 충격을 받았어서 안 썼었던 것 같다. 태영이가 이어폰 하나만 귀에 꼽고 이상한 표정을 하고 있는 사진인데, 아직도 그 어린 마음에 받았을 충격이 헤아려지지가 않는다. 모쪼록 줄 이어폰을 쓰던 나는 당시 타지에서 에어팟을 보자마자 구입했고, 얼리버드로서 잘 쓰고 다녔었다. 2017년 3월부터 송도에서 캠퍼스 생활을 하던 나는 송도에서 거의 유일하게 에어팟을 쓰던 사람이었고, 이게 뭐냐며 묻는 친구들도 참 많았다. 한 번은 친구 여자친구가 나에게 연락이 와서 이어폰을 어디서 사냐고 물어본 적도 있었다. 남자친구 생일 선물로 사주고 싶은데, 구하는 방법을 모르겠다고. 이런 저런 주위 친구들 반응을 본 나는 "아 이거 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에어팟이 유행한다고 해서 내 인생에 바뀌는 건 없었다.


매스컴에서 한 동안 정말 홍보를 많이 했던 VR, 로봇강아지,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보면서도 "혁명"의 고민을 했었다. 에어팟과는 반대로 "아 이건 잘 안 되겠다"라는 생각을 했던게 차이다. 나의 촉에 들어오지 않는 이 제품들은 발명품이 생기더라도 내 인생에서 딱히 준비할 게 없었다.


chatGPT를 보면 아 얘는 진짜 나중에 무조건 뜨겠다, 내 인생도 좀 고민해봐야 겠다라는 생각이 뜬다. 26살이다. 내 밥벌이는 내가 고민해야 하고 나의 결정에 나의 책임이 따른다는 뜻이다. chatGPT 나중에 뜬다라, 아니 사실 이미 떴을지도 모른다. 근데 더 뜰거다.




기존 100M 고객 돌파 기록 1위였던 틱톡은 개인정보 판매 아니냐는 말을 들을 만큼 수많은 프로모션으로 고객들을 끌어모았었고, 그나마 구글 번역이 프로모션 없이, 소셜네트워크 없이 "기능"만으로 고객들을 끌어 모은 예시인데, 80달 가까이 걸렸다. 하지만 chatGPT는 두 달만에 100M의 고객을 운집했다. 소셜네트워크도 프로모션도 없이 정말 기능만을 가지고 영향력을 이렇게나 행사했다. chatGPT를 보고 있으면 인생에서 정말 많은 것을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스마트폰 없이 살아가던 내 과거를 생각하지 못 하듯, chatGPT를 사용한지 한 달여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이 친구 없이는 절대 살 수가 없을 것 같다.




2023 퓰리처상 대학원생 부문 벌써 떴다.


https://gist.github.com/coolaj86/6f4f7b30129b0251f61fa7baaa881516

chatGPT에게 말 한마디로 정책 내규 규칙 지켜야되는거 어기게 가능하게 하는 코드

https://agentgpt.reworkd.ai/

어떤 목표를 주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task를 알아서 쪼개고 각 task를 gpt가 수행하고, 잘 수행할 수 있는지 스스로 비판하고, 다시 전략을 바꾸고 하는 모델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397&utm_medium=newsletter&utm_source=newsletter&utm_campaign=send_newsletter_201801&utm_content=newsletter_contents&utm_term=marketingmail

반도체 설계 분야를 GPT가 먹었다고 그러는데 들어가보니 막상 또 설계 검증은 다 사람이 하고 논문을 읽어봐야겠지만 추측컨대 DNN iteration 정도를 수행한 듯

가장 많이 본 글